정보신호
정보신호(Information Signal)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존재한다.
- 아날로그 신호(Analog Signal) :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자기파, 곡선형 형태로 나타난다.
- 디지털 신호(Digital Signal) : 데이터를 일련의 이산 값들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, 비연속적인 파형
신호 변환 방식
정보 형태 | 전송 회선 | 신호 변환기 | 내용 |
아날로그 | 아날로그 전송 | 전화기 | 증폭기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 증폭(Noise또한 증폭, 왜곡 심함) |
디지털 전송 | PCM | - 코덱 사용 - 디지털 전송을 하기에 원음 재생 - 왜곡 현상 방지 : 패턴 재생을 통한 신호 재전송 |
|
디지털 | 아날로그 전송 | 모뎀 | 아날로그 통신망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 전송 |
디지털 전송 | DSU | 적당한 간격으로 리피터 설치 |
# PCM(Plus Code Modulation)
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
# DSU(Digital Service Unit)
디지털 신호를 안정적이고 멀리 보내기 위해 신호를 변환시켜주는 장치
정보 전송 방식
정보 전송 부호화
- 송신자와 수신자 상호 간에 규정된 데이터 형태를 약속하는 것
구분 | 설명 |
2진 부호 | 0 혹은 1의 비트로 데이터 전송 |
BCD Code | 2^6개의 64가지 정보를 표현 |
ASCII Code | 7비트로 2^7의 128개의 정보를 표현 |
EBCDIC Code | 8비트로 2^8의 256개의 정보를 표현 |
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
구분 | 직렬 전송 | 병렬 전송 |
개념 | 한 문자의 비트를 하나의 전송선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송 | 한 문자의 비트들을 각자의 전송로를 통해서 한꺼번에 전송 |
특징 | 동기식 전송 방식 | 송수신기다 단순 |
장점 | - 전송 에러 적음 - 장거리 전송 - 통신 회선 비용 저렴 |
데이터를 빠르게 전송 |
단점 | 전송 속도 느림 | 에러 발생 가능성 높음 |
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
구분 | 비동기식 전송 | 동기식 전송 |
개념 | - 한번에 한 문자씩 전송 - 한 문자 전송마다 동기화 수행 |
데이터를 블록으로 나누어 블록 단위 전송 |
전송 단위 | 문자 단위 비트 블록 | 프레임 |
전송 속도 | 저속 | 고속 |
전송 효율 | 낮음 | 높음 |
장점 | 동기화가 단순, 저렴 | 원거리 전송에 용이 |
단점 | 문자 사이에 유휴 시간 발생 | 고가 |
데이터 통신 방식
교환 회선과 전용 회선
- 정보 전송 회선 :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
- 교환 회선 : 교환기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환
ㄴ 회선 교환 및 축척 교환으로 나누어짐
ㄴ 데이터 양이 적으며 사용자가 많을 때 사용하는 방식
- 전용 회선 : 송수신자간에 직접 전달
ㄴ 사용자는 적지만 전송할 데이터가 많을 때 사용하는 방식
Point to Point 와 Multi Point
- Point to Point : 전용 회선을 사용해서 송신자가 1대1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
ㄴ 안정적이고 빠르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
ㄴ 송신자와 수신자가 한번 연결괴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방법
ㄴ 송신 요구를 누가 먼저 했는지에 따라 회선 사용권이 결정
- Multi Point : 한개의 회선을 통해서 여러 명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
ㄴ 폴링(Polling)과 셀렉션(Selection)방식이 존재
ㄴ 폴링(Polling) : 송신자 단말기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를 물어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전송을 허가하는 방법
ㄴ 셀렉션(Selection) :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물어보고 준비되어 있으면 송신자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
회선 제어 단계
(1) 회선 연결 : 물리적으로 송신자와 수신자의 회선을 연결
(2) 링크 확립 : 송신자와 수신자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확인
(3) 메시지 전송 :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
(4) 링크 단절 : 송신자와 수신자의 링크를 단절
(5) 회선 절단 : 물리적인 회선을 절단하고 종료
전송 매체
-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: 구성이 용이하고, 비용이 저렴하나 혼선, 감쇠, 도청이 쉬움
- 동축 케이블 : 구리선을 사용함
- 광섬유 케이블 : 빛에 의한 데이터 전송, 감쇠에 영향을 받지 않음, 도청에 강함, 높은 비용, 설치 어려움
전송 에러
에러 | 설명 |
노이즈 (Noise) |
- 전송 시스템에 의해 생긴 다소의 왜곡을 포함한 전송 신호 및 송수신 과정에서 추가된 불필요한 신호 - 주변의 모니터, 형광등, 전자레인지 등 회선이 설치된 환경 특성에서 유발 |
감쇄 (Attenuation) |
- 데이터가 회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도중 전기적 신호가 약해지는 현상 |
혼선 (Crosstalk) |
- 서로 다른 전송로에 상이한 전송 신호가 전기적 결합에 의해 다른 회선에 영향을 주는 현상 - 통신 품질을 저하시키는 직접적인 요인 |
변조
-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로 부호화된 신호를 전송 매체에 전송할 수 있도록 주파수 및 대역폭을 낮는 신호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
- 부호화(Encoding)는 신호를 현재 정보나 신호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
변조 방식
아날로그 변조
아날로그 변조 | 설명 |
주파수 변조 (FM : Frequency Modulation) |
- 반송파의 기준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정보 신호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시킨 것 - 주파수 대역은 넓어지지만 잡음에 강함 - FM 방송, 저속 데이터 전송용 모뎀 등에서 사용 |
위상 변조 (PM : Phase Modulation) |
- 반송파의 위상을 정보 신호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시킨 것 - 디지털 전송용 모뎀, 디지털 무선 정송 등에서 사용 |
디지털 변조
- 진폭 편이 변조(ASK : Amplitude Shift Keying)
• 2진수 0과 1에 서로 다른 진폭을 적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
• 회로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
• 잡음이나 신호의 변동에 약하고 비효율적인 방법 = 데이터 전송용으로 적합하지 않음
- 주파수 편이 변조(FSK : Frequency Shift Keying)
• 2진수 0과 1에 서로 다른 주파수을 적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
• 주로 저속의 비동기 전송에서 많이 사용된다.
• ASK 보다 에러에 강하고 비교적 회로가 간단
- 위상 편이 변조(PSK : Phase Shift Keying)
• 2진수 0과 1에 서로 다른 위상을 적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
• 중속, 고속 동기전송에서 많이 사용, 주로 모뎀에서 사용
• 위상을 달리함으로써 복잡도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진다.
베이스 밴드 와 브로드 밴드
- 베이스 밴드(Baseband)
•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
• 전송 품질이 우수, 변조를 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모뎀이 필요 없다. 근거리 전송에 많이 사용
• 네트워크 운용 비용 저렴, 전이중 방식인 양방향 전송 가능
• 네트워크 구성이 간단
• 장거리 전송 시 추가적으로 리피터 필요
• 통신 잡음에 쉽게 변형되어 손실이 큼
- 브로드 밴드(Broadband)
• 디지털 신호를 여러 개의 신호로 변호재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
• 하나의 통신선로에 여러 개의 채널을 사용해서 동시에 전송
• 잔거리 전송에 효율적이고 비용 저렴, 잡음에 의한 신호 감소 적음
• 다중 채널을 사용해서 음성, 영상 등을 전송
• 회로가 복잡하여 설치 및 관리가 어려움
• 베이스 밴드보다 속도가 느림
• 단방향 전송
구분 | 베이스 밴드(Baseband) | 브로드 밴드(Broadband) |
종류 | 디지털 | 아날로그 |
거리 | 근거리 | 장거리 |
채널 | 단일채널 | 다중채널 |
방식 | 양방향 | 단방향 |
용도 | 데이터 전송 | 음성, 영상, 데이터 |
변복조 | 없음 | 필요 |
다중화 | 시분할 다중화 | 주파수 분할 다중화 |
PCM(Pulse Code Modulation)
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것
아날로그 신호를 펄스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이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환원하는 방법
- 표본화 : 아날로그 파형을 연속적인 시간 폭으로 나누어 작은 간격의 직사각형으로 시분할 하여 신호를 만듦
- 양자화 : 표본화된 신호의 진폭은 일정한 값이 아니라서 수량화를 수행하는 단계
- 부호화 : 양자화된 진폭 값을 2진법으로 나타낼 수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
- 복호화 : 디지털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변환함
- 여과 : 본래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
다중화(Multiplexing)
다중화
- 여러 단말장치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, 수신 측에서 여러 단말 장치의 신호를 분리하여 입출력할 수 있는 방식
- 하나의 통신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선과 모뎀을 절약할 수 있음
■ 주파수 분할 다중화(FDM :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)
- 좁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여러 개의 신호를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가진 하나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전송되는 방식
- 통신 채널이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독립된 저속 채널의 집단으로 분리한다.
■ 시분할 다중화(TDM : Time Division Multiplexing)
- 전송회선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타임 슬롯(Time Slot)이라는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서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채널 별로 전송
- 고속 전송이 가능하고 Point to Point 방식에 주로 사용
-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와 비동기식 다중화 방식이 있다.
■ 역다중화(Demultiplexing)
- 하나의 신호를 2개의 저속 신호로 나누어서 전송
- 하나의 채널이 고장나도 50% 의 속도로 사용할 수 있음
- 두 개의 음성 회선을 사용해서 광대역 통신 속도를 얻을 수 있는 장치
■ 파장 분할 다중화(WDM :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)
- 광섬유를 사용해서 하나의 선로에 8개 이하의 신호를 중첩해서 전송할 수 있는 기술
집중화기
- 여러 개의 입력 회선을 n개의 출력 회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
- 입력 회선의 수 >= 출력회선의 수
- 하나의 고속 통신회선에 여러 개의 저속 통신 회선을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
- 고송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줌
- 동적인 시간 할당
- 입출력 각각의 대역폭이 다음
- 구조가 복잡, 불규칙한 전송에 사용
'Study Fundamental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2. 근거리 통신 기술 (0) | 2021.08.16 |
---|---|
01. 네트워크 개요 (0) | 2021.08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