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b 12

04.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

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• 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 : 데이터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• 데이터베이스 : 데이터를 모아둔 토대(base) • 데이터 모델 :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법 →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, 처리할 것인가? ■ 데이터베이스 언어 • SQL - 데이터 정의어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 → 테이블 구조 정의 - 데이터 조작어 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 → 데이터 검색, 삽입, 삭제, 수정 - 데이터 제어어 DCL(Data Control Language) → 데이터 사용권한 관리 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• 일반 사용자 - 데이터를 다루는 업무를 하는 사람 -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프로그램을..

03. 파일 시스템과 DBMS의 비교

파일 시스템과 DBMS의 비교 구분 파일 시스템 DBMS 데이터 정의 및 저장 데이터 정의 :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 : 파일 시스템 데이터 정의 : DBMS 데이터 저장 :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접근 방법 응용 프로그램이 파일에 직접 접근 응용 프로그램이 DBMS에 파일 접근을 요청 사용언어 Java,C++,C 등 Java,C++,C 등 및 SQL CPU/주기억장치 사용 적음 많음 • 파일 시스템으로 구축된 응용프로그램은 데이터가 저장될 파일을 정의하고 직접관리 - 프로그램 개발 시 파일을 다루어야하는 부담 -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시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 저장 가능성 높음 • DBMS로 구축된 응용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정의 및 관리를 DBMS에 맡김 - 프로그램 개발 생산성 높음 - ..

02. 정보 시스템의 발전

정보 시스템의 발전 1. 파일 시스템 •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파일 서버에 저장 • LAN을 통해 파일 서버에 연결,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open/close request • 각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 저장 가능성 존재 • 동시에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 훼손 가능성 존재 # 파일 시스템 !=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.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• DBMS를 도입하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• 데이터를 가진 쪽을 서버(server), 외부에서 데이터 요청하는 쪽을 클라이언트(client) • DBMS 서버가 파일을 다루며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, 복구, 동시 접근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 •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를 표준화하며 무결성..